본문 바로가기

Marketing Mix

[인사이트] Contents 소재에서 얻은 Performance 인사이트

소재 테스트는 중요하다. 소재의 매력도가 클릭률, 조회율 뿐만 아니라 퍼포먼스에까지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다들 A/B테스트로 소재의 매력도 자체를 확인하지만, 캠페인 세팅을 진행할 수록 소재에서 퍼포먼스 인사이트를 상당히 많이 얻어올 수 있다는 것을 느꼈다. 

그래서 마케팅을 하면서 소재에서 얻어온 인사이트를 적어보고자 한다. 

 

1. Naver 키워드 세팅 

소재를 통해 키워드 인사이트를 얻어왔다. 팩 제품을 광고할 때, 초반에는 뷰티 관련된 키워드들을 등록했었다. 해당 키워드에서 CVR은 나쁘지는 않았지만, 키워드가 자체가 높아서 ROAS 100%에 도달하기에는 힘들었다. 

그러던 중 추석 시즌에, 부모님 선물용으로 제품이 기획되었고, 이미지 소재가 디자인되어 전달되었다. 왜냐하면 해당 팩 제품은 5060 잠재고객도 30% 정도 분포하고 있었다. 그래서 추석에 부모님께 선물을 드리기에 적합한 제품이었다. 여기서 인사이트를 얻어서, '부모님 선물'이라는 키워드를 추가하였다. 추석 시즌에는 해당 키워드의 경쟁률이 치열하여 좋은 결과는 얻지 못하였지만, 추석 시즌 이후 해당 키워드에서 ROAS 150%를 기록하였다. 

 

2. Facebook 상세 타겟팅 

소재에서 얻은 인사이트는 상세 타겟팅에 도움이 되었다. 

어린이 교구 제품 Facebook 광고를 돌리게 되었다. 초반에 픽셀 모수가 적게 모여서 오픈 타겟을 했을 때 효율이 좋지 않을 것이라 판단했다. 그래서 상세 타겟팅을 진행하기로 했다.

이전 소재들의 히스토리를 보는데,  대학생 자취생들의 인테리어 소품으로 광고를 많이 했었다. 자취생을 대상으로 '혼자만 있는 내 방에서 나를 맞아주는 00'이라는 소재가 CTR도 8% 이상이었고, ROAS 또한 180%를 기록하였다. 여기서 인사이트를 얻은 나는 자취생, 대학생, 인테리어 소품 등의 주제를 상세 타겟팅에 설정하였다. 그 결과 1주 ROAS는 약 150%를 기록할 수 있었다. 

 

3. Google 맞춤 타겟팅 

구글에는 '맞춤 고객 타겟팅'이라는 부분이 있다. 구글에서 특정 키워드를 검색한 적이 있거나, 해당 분야에 구매 의도를 보인 사람들에게 광고를 노출시키는 타겟팅이다. 덕분에 정교한 타겟팅이 가능하여 이에 활용하였다. 

예를 들어, 팩 제품 광고를 할 때 맞춤 타겟에 '부모님 선물'을 넣었다. 위에서 언급했듯, 선물이라는 소구점으로 소재를 제작했을 때 효율이 좋았기 때문이다. 또한 세척 제품을 광고한 적이 있었는데, 이 때 자취생 소구로 소재를 제작했을 때 효율이 좋았다. 그래서 자취생 관련 키워드를 넣어 맞춤 타겟을 제작한 적이 있었다. (이는 다른 잠재고객에 비해 노출이 많이 되지는 않아 효율적이라고 판단하기에는 이르다. 적은 광고비 기준에서 ROAS가 100%를 넘었다) 

 

이렇게 소재와 관련하여 다양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 타겟팅, 광고 설정이 고도화 될 수록 이런 인사이트가 늘어날 것 같다.